두번째 기단을 올라서서 대웅보전을 바라본 모습이다.
여전히 시야에는 뒷편의 기암이 남아있다.
종교적인 의미가 얼마나 컸었는지는 모르겠으나,
결론적으로는 대웅보전 앞마당의 깊이를 좌우하는 중요한 변수였으리라 짐작케 한다.
개암사의 분위기는 적막하다.
시간도 늦은 시간이어서 사람도 거의 없기도 한 탓도 있겠으나 궁극적인 이유는 앞마당 스케일의 문제일 듯 하다.
중앙에 서면 어느 건물 하나도 가까이 있지 않은, 저만치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리라는 생각이 든다.
마당의 전체 스케일로만 보면 앞의 선운사와 비슷하지만, 선운사가 무언지 바쁜 듯한 어수선함이 있고 속세의 세상을 재현한 듯한 공간이 있었다면,
이 개암사는 휴먼스케일을 애써 피해간 듯한 결벽증적인 절제까지 느껴지며, 속세의 세상이 아닌 듯한 경외로움마저 지니고 있다.
거기에, 앞서 보았던 일주문의 화려함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소박함과 단아함 마저 느껴지는 배치의 강한 대칭성 등이 어우러져 적막한 고요함을 만들어낸다.
그런 생각을 하다 문득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니 창백해지는 하늘과 처마끝에 쓸쓸히 달려있는 풍경의 윤곽이 그 적막함을 더하고 있다.
박태홍은 이 사이트를 2001년 부터 운영해온 운영자이며,
또한 건축가이자 교육자로서,
현재 건축연구소.유토를 운영하고 있다.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