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적인 구성이 정리된듯한 단아한 개암사는 지형차를 이용하여 진입함으로서 그 공간적인 임팩트가 전해진다. 이 또한 내소사와 같은 맥락으로 일주문으로 진입하기도 전부터 우리에게 메세지를 던져준다. 내소사 댓글에서 친절하게 설명해주신 영암이 여기서도 하나의 clue로 던져진다.
사천왕이 따로 없지만 천을 건너는 다리를 지나면 위와 같이 무언가 보여준다. 보여주고 싶은 공간에 포커스를 주기위해 주변의 수목이 그것을 돕고 있는듯하다.
다리를 지나면 조리개 같은 수목장치는 사라지고 주요한 몇몇의 건물이 보이기 시작하고 그 배경으로 진입전부터 의문을 품고있었던 영암과 한장면이 연출된다.
자연스러운 지형의 차이를 석축으로서 공간의 위계가 구분되었고 처음에는 뒤의 산과 대웅전의 머리끝만 보이던것이 가까이 다가가면 다시 머리끝을 집어 넣는다. 그리고 전체적인 축을 유추하게하는 석축계단이 자연스럽게 동선을 유도한다.
석축계단을 올라와서는 정갈한 느낌의 절이 한눈에 들어온다. 선운사에서는 한번에 보여지게 하지 않는 방식이 건물로 가리는것이였지만 개암사는 석축으로서 어떠한 필터의 역할을 하는듯하다. 마지막의 클라이막스 부분에 있어서는 모든 요소들이 다 보여진다. 처음에 보였던 영암의 배경에 중심이 되는 대웅전과 질서있는 건축적 장치(백일홍,석축,석축앞의 기와(?))의 복합적 요소로서 한 장면을 연출하고 있다. 개암사는 규모는 작지만 전체의 공간을 연출하는데에 부족함이 없는 그런 절이였다.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
메인 축과 어긋나서 돌아가는 듯 하다가 계단 앞에 와서는 축방향으로 바로 돌아서서 일치시킨다.